평화통일운동가 (고)이행우 선생을 기리는 추모예배가 40여 명의 동지, 지인, 후학들이 참석한 가운데 3일 뉴욕우리교회 여명홀에서 열렸다.
‘평화통일운동가 이행우 선생 추모예배’가 고인을 기억하고 기리는 40여 명의 동지, 지인, 후학들이 참석한 가운데, 3일 호후 7시 뉴욕우리교회 여명홀에서 열렸다.
지난 10월 16일 향년 90세에 유명을 달리한 고 이행우 선생은 서울대 수학과를 졸업한 후 십여 년간 교직에 종사하다가 함석헌 선생을 만나 1960년 ‘퀘이커 서울모임’을 결성하고 평화운동에 발을 들여 놓았다.
그는 1968년 유학생으로 도미한 후 평생을 ‘한반도 통일운동’에 전념했다. 미국에 정착한 뒤에는 한국 군사독재하의 양심수를 지원하는 ‘한국수난자가족돕기회’ 결성을 시작으로 인권운동에도 눈을 돌렸고, 1980년 한국 귀국 중에 목도한 '5·18 광주민주항쟁'의 참상과 한국 군부 쿠데타 세력의 폭력을 전 세계에 알리는 데 큰 역할을 했다. 또 미국 조야에 한반도의 실상을 알리기 위해 ‘한겨레미주홍보원(KIRC)’을 창설하고 영문판 'Korea Report'를 발행했으며, 남북미 3자 관계 특히, 북미 관계 개선을 위해 노력했다.
이행우 선생은 한반도의 평화와 통일을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대미 민간교류와 공공외교에 대한 중요성이 채 정립되지도 않았던 1980년대 말부터 이미 한반도 문제에 대한 미 정계의 역할과 중요성을 인지해 온 남북미 정치인 네트워크를 만들기 시작한 ‘대미 공공외교의 선구자’로 인정받는다.
또 고인은 미주 동포사회 내에서도 문동환 목사 등과 조우하며 한반도 통일을 위해 많은 노력을 했다. ‘NAKA’와 ‘6·15공동선언실천위원회’ 등 통일운동 단체를 조직하고 활동했으며, 많은 후학들이 자랄 수 있는 토양을 만들었다.
그의 업적은 한국에서도 크게 인정받아 한겨레신문사가 수여한 '한겨레통일문화상'과 광복회가 수여한 ‘광복평화상'을 수상했다.
|